비개착 공법이란? 도심 속 지하를 파는 조용한 기술
비개착 공법이란?
비개착 공법은 말 그대로 지표면을 파헤치지 않고, 지하를 굴착하는 공법입니다. 보통 도심 한가운데에서 지하철, 통신관, 상하수도관 등을 설치할 때 활용되며, 지상 교통이나 건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공사 흔적이 눈에 잘 띄지 않고, 소음이나 분진 발생이 적기 때문에 ‘무굴착 공법’이라고도 불리며, 대표적으로 NATM과 쉴드 TBM 같은 공법들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비개착 공법의 종류
현장 조건에 따라 여러 가지 비개착 방식이 있으며, 각기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NATM(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발파 후 바로 숏크리트, 록볼트 등을 이용해 지반 자체의 지지력으로 굴착을 유지하는 방식
- 쉴드 TBM(Shield Tunnel Boring Machine): 원형 터널을 기계로 굴착하며, 동시에 라이닝(내부 구조물) 설치까지 진행
- Micro Tunneling(소구경 터널링): 소형 배관, 통신관 등을 설치할 때 적합한 공법으로, 강관을 밀어넣는 방식
- Pipe Jacking: 입구에서 원형 강관을 밀어넣으며 굴착하는 방식, 소규모 하수관로에 적합
이러한 공법들은 도로 아래, 철도 아래, 또는 건물 하부를 통과해야 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비개착 공법의 특징
✔ 장점
- 지표면을 파헤치지 않아 교통 통제가 거의 불필요
- 소음, 진동, 먼지 발생이 적음
- 건물 밀집 지역, 문화재 주변 등 민감 구역에서 유리함
- 비 오는 날이나 야간에도 시공 가능
✖ 단점
- 장비가 고가이고 초기 투자 비용이 큼
- 지반 조건에 따라 시공이 어려운 경우도 있음
- 굴착 위치 확인이 어려워 숙련된 기술자 필요
- 공정 중 고장 시 유지·보수가 어렵고 비용이 큼
특히 쉴드 TBM 공법은 엄청난 기계 장비가 필요하고, 한 번 공정을 시작하면 중간에 멈출 수 없기 때문에 매우 정교한 계획이 필요합니다.
개착 공법과의 차이점
구분 | 비개착 공법 | 개착 공법 |
---|---|---|
지표면 처리 | 지면을 건드리지 않음 | 지면을 완전히 굴착 |
소음/먼지 | 적음 | 많음 |
비용 | 고비용 | 저비용 |
공사 속도 | 상대적으로 느림 | 빠름 |
적합 지역 | 도심, 민감 지역 | 개발지, 시외곽 |
결국 두 공법은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되며, 비개착은 민원 최소화, 개착은 비용 절감</strong이라는 목적을 갖고 선택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 비개착 공법은 어디에 많이 쓰이나요?
A. 지하철, 상하수도, 통신관, 전력관, 공동구, 터널 시공 등 도심 기반 시설에 주로 쓰입니다.
Q. 쉴드 TBM은 어떻게 작동하나요?
A. 거대한 원형 장비가 회전하면서 지반을 굴착하고, 굴착과 동시에 콘크리트 라이닝을 설치해 터널을 완성합니다.
Q. 공사 중 위치나 방향이 틀어지면 어떻게 하나요?
A. 고정밀 센서와 GPS 시스템을 활용해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오차를 조정합니다.
Q. 비개착 공법이 더 안전한가요?
A. 지상 교통이나 인명 위험은 적지만, 장비 내부에서 일어나는 사고나 붕괴 위험도 존재하므로 별도의 안전 관리가 필요합니다.
Q. 공사비는 얼마나 차이 나나요?
A. 개착 대비 1.5~3배 이상 비쌀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민원비용이나 사고 예방 비용까지 고려하면 오히려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비개착 공법은 도심이 점점 복잡해지는 지금, 인프라 구축의 핵심 기술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건물은 그대로, 도로도 그대로 두고 아래만 조용히 뚫어가는 이 기술은 정말 놀랍기도 하죠.
물론 높은 비용과 정밀한 설계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모든 현장에 적용하기는 어렵지만, 도심의 중심에서 조용히 땅을 파고 싶은 상황이라면 가장 적합한 해답이 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 비개착 기술이 더 정교해진다면, 우리는 공사 현장조차 보이지 않는 도시에서 살아가게 될지도 모르겠네요.